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 설치 기준

by 더불어숲 2023. 2. 17.
반응형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 설치 기준

차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량(누설량)과 옥내와 연결된 출입문이 열렸을 때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하여야 할 방연풍속을 위한 공기량(보충량)으로 인해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피난의 종료로 출입문이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닫히면 제연구역에는 순간적으로 과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실 제연설비에서 제연구역에 해당하는 계단실, 부속실 또는 승강장에 과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과압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고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과압이 해소되어야 한다. 이렇게 과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조치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플랩댐퍼)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1.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 설치 기준

    1) 과압방지장치

         - 과압방지장치의 배출장치는 동력이든 무동력이든 인력에 의한 방법이 아닌 자동으로 작동되어 배출하는 방식이 되어야 한다.

        ①  제연구역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성능이 있는 것으로 할 것

        ② 과압방지 위한 과압방지장치는 차압,  방연풍속 등의 해당 조건 만족하여야 한다.

 

    2) 플랩댐퍼

        ① 철판 두께 1.5mm 이상 열간압연연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내열성 있는 것

        ② 소방청장이 고시하는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한다

 

    3)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설치 기준

        ① 차압범위 수동설정기능과 설정범위의 차압 유지되도록 개구율 자동 조절 기능 있을 것

        ② 옥내와 면한 개방된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기 전 개구율 자동 감소시켜 과압방지 할 것

        ③ 주위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의해 기능에 영향받지 않는 구조일 것

        ④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2. 부속실 제연설비 최대차압 및 과압방지장치

     ① 부속실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힘 계산식

 

                    Fdc : 도어체크 개방력(N)

                       W : 출입문 폭(m)

                    △P : 부속실과의 차압(Pa)

                      Fp : 차압이 작용할 때 방화문을 개방하기 위한 힘(N)

                     Kd : 출입문 마찰계수

                        A : 출입문 크기(m²)

                        d : 출입문에서 손잡이까지의 거리(m)

 

    ② 부속실 과압방지장치

          ㉠ 부속실 개방에 따른 최대차압 110N 이하 유지하기 위한 장치

          ㉡ 과압방지장치 종류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 목차 Style 시작 */ /* 목차 Style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