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위험물기능장 필수 암기! 헷갈리는 옥내소화전설비 기준, 이렇게만 외우세요!"
안녕하세요, 위험물기능장과 산업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께 도움이 되고자, 2024년 7월 31일 시행되는 최신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중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제129조 내용을 핵심 정리하여 공유드립니다. 시험에 자주 나오는 항목 위주로, 암기와 이해가 쉽도록 간결하고 명확하게 재구성했습니다.

📑 목차
1. 🏷️ 소화전 설치 위치 및 구조 기준
2. 💡 표시 등·배관·전선 관련 기준
3. ⚙️ 가압송수장치와 비상전원 기준
4. 📌 시험 포인트 총정리 및 정리 요약
1. 🏷️ 소화전 설치 위치 및 구조 기준
2. 💡 표시 등·배관·전선 관련 기준
3. ⚙️ 가압송수장치와 비상전원 기준
4. 📌 시험 포인트 총정리 및 정리 요약
반응형
🏷️ 1. 소화전 설치 위치 및 구조 기준
- 소화전 개폐밸브와 호스접속구 높이: 바닥에서 1.5m 이하
- 소화전함 재질: 불연재료로 제작, 점검·접근 용이한 장소에 설치
- 시동표시등(적색): 소화전함 내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 (예외 조건 존재)
- 소화전함 표기: "소화전"이라고 표면에 명확히 표시
- 표시등 위치: 벽면 상부에 설치, 15도 이상 각도에서도 10m 거리에서 식별 가능
💡 2. 표시 등·배관·전선 관련 기준
- 비상전원용 표시등과 조작회로: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또는 동등 이상 사용
- 전선 설치 방식: 금속관공사, 금속덕트공사, 케이블공사 등
- 배관 기준:
- 전용 배관 사용 원칙 (특정 조건하에 겸용 가능)
- 흡수관: 펌프마다 전용, 여과장치 및 후드밸브 설치 필수
- 배관 재질: KS 기준의 강관 또는 동등 이상 내식·내열 재질 사용
- 밸브류:
- 재질: 주강, 회주철, 구상흑연주철 또는 동등 이상
- 개폐방향·흐름방향 표시 필수
⚙️ 3. 가압송수장치와 비상전원 기준
- 가압송수장치 종류: 고가수조 / 압력수조 / 펌프 이용 방식
- 고가수조 방식: H = h1 + h2 + 35m (마찰수두 + 마찰수두 + 여유수두)
- 압력수조 방식: P = p1 + p2 + p3 + 0.35MPa (호스·배관·낙차 + 여유압)
- 펌프 방식:
- 토출량 = 최대 설치 층의 소화전 수 × 260L/min (최대 5개 기준)
- 전양정 = h1 + h2 + h3 + 35m
- 정격토출량 150% 시 전양정은 65% 이상 유지
- 비상전원:
- 자가발전설비 또는 축전지 (45분 이상 작동 가능)
- 정전 시 자동 전환 및 전용설비 요건 충족
- 배관체절압력의 1.5배 이상 견디는 내구성 요구
- 기동장치 위치: 소화전함 내부 또는 인근에 설치
- 정지는 직접조작 방식만 허용
300x250
📌 4. 시험 포인트 총정리 및 정리 요약
- 설치높이 1.5m 이하 / 표시등은 적색 + 10m 식별
- 불연재 소화전함, 직접조작 방식 정지만 허용
- 배관 재질·밸브 표시 등 KS 기준 확인
- 고가수조·압력수조·펌프 방식의 수두/압력 계산식 숙지
- 비상전원 전환 자동 + 45분 작동 + 배치 조건 필수
이상으로 2024년 개정된 위험물안전관리 세부기준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주요 기준을 정리해보았습니다.
✅ 본 내용은 시험에서 반복 출제되는 주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정리된 자료이므로, 수험자료로 정리·복습용으로 적극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시험에서 반복 출제되는 주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정리된 자료이므로, 수험자료로 정리·복습용으로 적극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위험물 기능장 > 위험물 안전관리 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산화성 고체 판정기준 총정리|연소시험으로 확인하는 산소의 위험성 (0) | 2025.04.16 |
---|---|
🔥 위험물 시험 기준 총정리|산화성부터 자기반응성까지 한눈에 보는 기준 (0) | 2025.04.15 |
위험물 자격증, 이거 하나면 끝?! 저장/취급 기준 완벽 정리 (feat. 암기 꿀팁 대방출) (0) | 2025.03.26 |
위험물기능장 & 산업기사 필수: 탱크안전성능검사 완벽 정리 (0) | 2025.03.21 |
위험물 기능장·산업기사 필수 암기! 탱크안전성능검사 완벽 정리 (0)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