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능시험배관2 연결송수관설비의 주배관 스프링클러소화설비와 겸용 금지 관련 화재안전기준 개정(2024. 7. 1 시행)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502) 및 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502)"의 일부가 개정되었습니다. 2020년 울산 소재 33층 주상복합건물 화재 후속 대책 일환으로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연결송수관설비를 사용하는 사람은 관계자 등이 아닌 소화작업을 하는 소방관입니다. 그렇기에 건축물 화재 시 소방관이 원활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소화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소화설비용 배관을 건축물 내에 미리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참고 - 연결송수관설비 설치 대상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 ①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2024. 7. 23. 옥내소화전설비 _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102) 가압송수장치,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성능시험배관, 압력스위치 압력 설정방법 옥내소화전설비 _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102) 가압송수장치,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성능시험배관, 압력스위치 압력 설정 방법 옥내소화전설비에서 "가압송수장치"는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말하며 "기동용수압개폐장치"란 소화설비 배관 내 압력변동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펌프를 기동 및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압력챔버 또는 기동용 압력스위치 등을 말한다. "성능시험배관 설치 목적"은 측정한 결과치를 이용하여 펌프특성 곡선과 비교하여 펌프특성의 적정여부를 검토하여 이상이 있을 경우 펌프를 수리하여 항시 소방용 펌프로서 펌프 특성 곡선을 만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성능 시험 배관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펌프의 체절점(유량 0), 정격점(유량 100%), 과부하점(유량 150%)에서의 유량과 토출압력을 측정.. 2022. 6.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