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방시설관리사28

자동화재탐지설비_화재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별표 1의 연기감지기 설치할 수 없는 장소, 수증기와 연기 다량 머무는 장소에서 감지기 설치 시 유의사항 소방시설관리사(소방관리사) 2차 시험 대비 자료입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별표 1의 연기감지기 설치할 수 없는 장소, 수증기와 연기 다량 머무는 장소에서 감지기 설치 시 유의사항 등에 대하 내용과 암기법입니다. 1.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감지기 설치 제외 장소 ⓜ 천안(간)부고 목파먼주 ①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20m 이상인 장소. 다만, 제1항 단서 각호의 감지기로서 부착 높이에 따라 적응성이 있는 장소는 제외한다. ② 헛간 등 외부와 기류가 통하는 장소로서 감지기에 따라 화재 발생을 유효하게 감지할 수 없는 장소 ③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④ 고온도 및 저온도로서 감지기의 기능이 정지되기 쉽거나 감지기의 유지관리가 어려운 장소 ⑤ 목욕실·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 2022. 10. 24.
자동화재탐지설비_화재 감지기 종류 별 설치기준 및 차동식/보상식/정온식/스포트형 감지기 설치수량, 화재감지기 별 적응성 및 문제점, 암기법 소방시설관리사(소방관리사) 2차 시험 대비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 감지기 종류 별 설치기준 및 차동식/보상식/정온식/스포트형 감지기 설치수량, 화재감지기 별 적응성 및 문제점, 암기법 입니다. 모두 숙지하시어 좋은 성과 이루시길 바랍니다. 1. 화재 감지기 종류 별 설치기준 2. 차동식, 보상식,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설치수량 3. 화재감지기 별 적응성 및 문제점 2022. 10. 23.
자동화재탐지설비_불꽃감지기 특징 및 설치기준(암기법) 소방시설관리사 2차 시험대비 자료입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 불꽃감지기 주요 특징 및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보된 감지기로 소방 관련 여러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숙지하시어 좋은 성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물질이 불꽃을 내며 연소할 때 발생하는 스펙트럼은 통상 가시광선(0.4~ 0.8μm), 자외선(0.4μm 미만), 적외선(0.8μm 초과)으로 구분된다. 불꽃은 초기 발생부터 특유의 연소특성을 나타내는데 이 특성 중 육안으로 구분하지 못하는 자외선과 적외선의 서로 다른 파장대가 존재하는 특수한 파장을 방사한다. 이러한 불꽃에서 방사되는 자외선 파장 특성(0.18 μm ~ 0.26μm)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파장 특성(4.3㎛±0.2㎛)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복합.. 2022. 10. 22.
자동화재탐지설비_연기감지기(광전식분리형 연기감지기) 설치 장소 및 설치 기준 소방시설관리사(소방관리사) 2차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연기감지기 설치장소 및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소방기사와 소방기술사 1교시 과목과도 연결이 되기 때문에 꼭 숙지하시면 좋은 결과와 연결될 것입니다. 연기감지기는 이온화식과 광전식이 있으며, 광전식은 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으로 구분된다. 1. 연기감지기 설치장소 (관점 19) ⓜ 계단 경사복 엘린파 15 ① 계단 • 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② 복도(30m 미만 제외) ③ 엘리베이터 승강로(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린넨슈트 · 파이프 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④ 천장 또는 반자 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의 장소.. 2022. 10. 20.
반응형

/* 목차 Style 시작 */ /* 목차 Style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