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택마련저축공제3 연말정산 똑똑하게! 주택마련저축 공제 완전 정복 (2/3) 지난 편에서는 주택마련저축 공제의 기본 개념, 공제 대상, 그리고 세대주 및 무주택 요건에 대해 꼼꼼히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공제 대상 불입액, 중도 해지 시 주의사항,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그리고 청년형 장기펀드 소득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 얼마까지 공제받을 수 있나요? (공제 대상 불입액)주택마련저축 공제는 연간 납입액의 40%를 공제해 주지만, 무한정 공제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의 납입액에 대해서만 공제가 적용되므로, 최대로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은 120만 원(300만 원 x 40%)입니다. 4-1. 선납한 금액다음 연도 이후 불입할 금액을 미리 선납한 경우, 선납한 금액을 포함하여 당해 연도에 실제 불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공제 한도를.. 2024. 12. 23. 연말정산 똑똑하게! 주택마련저축 공제 완전 정복 (1/3) 안녕하세요, 여러분! 연말정산 시즌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13월의 월급을 두둑이 챙기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꼼꼼하게 절세 전략을 세워야겠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주택마련저축 공제'에 대해 파헤쳐 보려고 합니다. 주택마련저축 공제는 복잡한 규정과 다양한 예외 사항들로 인해, 정확히 이해하고 혜택을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리즈를 통해 총 3편에 걸쳐 주택마련저축 공제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어려운 용어는 쉽게 풀어쓰고, 헷갈리는 부분은 명쾌하게 짚어드릴 예정이니, 이 시리즈만 정독하시면 주택마련저축 공제, 더 이상 어렵지 않으실 거예요! 본 시리즈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1편: 주택마련저축 공제, 기본 다지기 (현재 글)주택마련저축 공제란 무엇일.. 2024. 12. 22. 전세, 월세 대출 이자 갚느라 힘드시죠? 주택임차차입금 공제로 연말정산 환급 든든하게 챙기세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집값, 전셋값, 월세 모두 천정부지로 치솟는 요즘, 내 집 마련은 꿈도 못 꾸고 전세나 월세로 거주하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에게는 더욱 큰 부담일 텐데요. 오늘은 전세, 월세 대출 이자 갚느라 허리띠 졸라매는 분들을 위해 주택임차차입금 공제라는 든든한 연말정산 혜택을 자세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2024년 최신 정보로 꼼꼼하게 정리했으니, 놓치지 말고 꼭 챙겨가세요! 주택임차차입금 공제, 그게 뭔데? 주택임차차입금 공제란 쉽게 말해, 전세나 월세 자금을 위해 대출받은 무주택 세대주(또는 일정 요건 충족 시 세대원)가 갚은 원금과 이자(원리금)의 40%를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 해주는 제도입니다. 즉, 전월세 대출 갚은 돈의 일부를 돌려받는 것과 같습니.. 2024. 12.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