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수를 다른 말로 산화 상태라고도 합니다. 산화수는 하나의 물질 내에서 전자의 교환이 일어났다고 가정했을 때 물질을 이루는 특정 원자가 갖게 되는 전하수를 말합니다. 특히 공유 결합 화합물의 산화-환원 반응에서 전자 이동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즉, 원자 사이에 주고받은 전자 수 또는 원자가 얻거나 잃은 전자 수를 산화수라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화학식 작성에서 필수라고 할 수 있는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Rule)과 산화수의 다양한 계산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배우는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과 산화수 계산 방법은 이온결합 화합물의 실험식(화학식)과 같이 보면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반드시 확인해 보세요.
★ 이온결합 화합물의 실험식(화학식) 작성 방법
1. 원소에서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
1) 원소의 산화수 = 0
동위원소($H_2, O_2$..)와 금속물질($Na, Cu$)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는 0입니다.
① $H_2$ 분자에서, $H$의 산화수 = 0
② $O_2$ (산소), $O_3$(오존)에서, $O$의 산화수 = 0
③ 마그네슘 금속, $Mg$에서, $Mg$의 산화수 = 0
2) 단원자 이온의 산화수 = 이온 전하
단원자 이온의 산화수는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① $Cu^2$$^+$ 이온에서 $Cu$의 산화수 = +2
② $Na^+$ 이온에서 $Na$의 산화수 = +1
③ $Al^3$$^+$ 이온에서, $Al$의 산화수 = +3
④ $K^+$ 이온에서, $K$의 산화수 = +1
⑤ $S^2$$^-$ 이온에서, $S$의 산화수 = -2
2. 화합물에서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
1족 산화수 : +1 |
2족 산화수 : +2 |
7족 산화수 : -1 |
$Li$ | $Be$ | $F$ |
$Na$ | $Mg$ | |
$K$ | $Ca$ | |
$Rb$ | $Sr$ | |
$Cs$ | $Ba$ | |
$Fr$ | $Ra$ |
- 아래 내용 중 폐급 No-1 ~ 3은 공식적 용어는 아님을 밝힙니다. 여러분의 이해도를 높이고 설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지어진 용어입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1) 폐급 No-1 이기주의 원소의 산화수
폐급 No-1 이기주의 원소는 무조건 산화수를 자기에게 가장 먼저 할당해 주기를 강력히 원합니다. 따라서 산화수를 구할 때는 아래의 규칙에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면 1족 원소의 산화수는 +1, 2족 원소의 산화수는 +2, F의 산화수는 -1, O의 산화수는 -2, H의 산화수는 +1 또는 -1 등의 규칙을 말합니다.
화합물 또는 다원자 이온에서, 이들 폐급 No-1 이기주의 원자는 그 어떤 원자보다 우선적으로 각자의 산화수 값을 갖게 됩니다.
① 알칼리 금속(1족)의 산화수 = +1
② 알칼리 토금속(2족)의 산화수 = +2
③ 할로겐족 원소인 F의 산화수 = –1
예1) $OF_2$에서, $F$의 산화수 = -1, 따라서 $O$의 산화수 = +2
예2) $Ca_3(PO_4)_2$에서 $Ca$의 산화수 = +2, O의 산화수 = -2, 따라서 $P$의 산화수 = +5
2) 폐급 No-2 $H$의 산화수 = +1
- 아래의 경우는 예외로 적용됩니다.
ㆍ금속과의 결합(금속화합물)에서는 -1입니다. (일부 붕소 포함)
예) $NaH, MgH_2$는 $H$ 의 산화수 = -1
3) 폐급 No-3 $O$의 산화수 = -2
① $O$의 산화수는 -2입니다. 전기음성도가 $F$ 다음으로 크기 때문입니다.
② 아래의 경우는 예외로 적용됩니다.
폐급 No-2 $H$와 폐급 No-3 $O$는 $NaH$, $H_2O_2$에서처럼 자신보다 우선순위에 있는 원자와
단 두 종류끼리만 있을 경우에 한해, 산화수가 변하게 됩니다.
- $H_2O_2$에서 -1, $O_2F_2$에서 +1, $OF_2$에서 +2, $O_2$에서 0
㉠ $H_2O_2$에서 $O$의 산화수 = –1, $H$가 $O$보다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입니다.
㉡ $O_2F_2$에서 $O$의 산화수 = +1, $F$가 폐급 No-1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 $OF_2$에서 $O$의 산화수 = +2, $F$가 폐급 No-1 원소이므로 -1의 산화수를 먼저 할당받기에 산소는 -2가 아닌 +2의 산화수를 갖게 됩니다.
★ 참고 _ 전기음성도ㆍ금속의 이온화 경향ㆍ금속과 비금속의 양쪽성 원소
3. 다원자 이온의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
-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기본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전하 + 음전하 = 0
㉡ (양이온의 개수 × 양이온의 전하) + (음이온의 개수 × 음이온의 전하) = 0
문1) $SO_4^2$$^-$에서 $S$의 산화수를 구하세요.
-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이온의 전하와 같으므로 기본식은 양전하 + 음전하 = -2가 됩니다. 이 기본식에 따르면 S + 4 × (–2) = –2 되므로 S의 산화수는 +6이 됩니다.
문2) $CO_3^2$$^-$에서 $C$의 산화수는 어떻게 될까요?
- C + 3 × (-2) = -2, C의 산화수 = +4
문3) $NO^3$$^-$에서 $N$의 산화수는 어떻게 될까요?
- N + 3 × (-2) = -1, N의 산화수 = +5
문4) $MnO^2$$^-$에서 $Mn$의 산화수를 구하시오?
- Mn + 2 × (-2) = -1, Mn의 산화수 = +3
4. 중성화합물(분자)에서의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
- 화합물을 이루는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은 0입니다. 즉,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 = 0입니다.
문1) $SO_2$에서 $S$의 산화수를 구하시오?
㉠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에서 폐급 원소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폐급 No-3에 해당하는 O가 있으므로 여기에 산화수 -2를 먼저 배당해 주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 $SO_2$에서, $O$는 2×(–2)이므로, $S$ S의 산화수 = +4가 됩니다.
문2) $KMnO_4$에서 $Mn$의 산화수를 구하시오?
㉠ 폐급 No-1 ~ 폐급 No-3에 해당하는 원소가 K과 O가 있습니다. 화합물에서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에 따라 K = +1, O = -2의 산화수를 배당해 줍니다.
㉡ 1 × (+1) + Mn + 4 × (-2) = 0 ∴ Mn = +7
★화합물에서 산화수 예시
분자 | 원소 산화수 | 원소 산화수 | 원소 산화수 |
$SO_2$ | O = -2 | S = +4 | |
$SO_4^2$$^-$ | O = -2 | S = +6 | |
$NH_4^+$ | H = +1 | N = -3 | |
$NO_2^-$ | O = -2 | N = +3 | |
$NO_3^-$ | O = -2 | N = +5 | |
$OF_2$ | F = -1 | O = +2 | |
$KMnO_4$ | K = +1 | O = -2 | Mn = +7 |
$H_2O_2$ | H = +1 | O = -1 | |
$H_2O$ | H = +1 | O = -2 |
★참고 _ 전기음성도 및 금속의 이온화경향 알아보기
5. 산화수를 구하는 방법 중 우선순위 알아보기
- 지금까지 상황별로 산화수 구하는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부분은 암기 영역입니다. 반드시 암기 바랍니다. 산화수 구하는 규칙에서 화합물 또는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하는 순서 즉 우선순위에 대해 다시 한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폐급 No-1 이기주의 원소의 산화수를 할당해 줍니다.
둘째, 폐급 No-2 이기주의 원소의 산화수를 할당해 줍니다.
셋째, 폐급 No-3 이기주의 원소의 산화수를 할당해 줍니다.
넷째, 폐급 No-1 ~ No3에 직접적으로 해당하는 원소가 없고 이웃하는 즉 같은 족에 있는 원소가 있다면, 이들 원소의 산화수를 우선 할당해주어야 합니다.
다섯째, 위에 언급되지 않은 부분은 ① 원소에서 산화수를 규하는 규칙 ② 다원자 이온과 중성화합물에서의 산화수 구하는 규칙에 따라 산화수를 할당해 주면 됩니다.
여섯째, 변하지 않고 언제나 같은 예외가 있을 수 없는 절대 산화수를 기억해야 합니다.
① 알칼리금속, 즉 1족 원소로써, 항상 +1의 산화수를 갖습니다.
② 알칼리토금속, 즉 2족 원소로써, 항상 +2의 산화수를 갖습니다.
③ 할로겐족인 F는 항상 –1의 산화수를 갖습니다.
- 나머지 할로겐족 원소는 –1, +1, +3, +5, +7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일곱째, 절대 산화수에 버금가는 준절대 산화수를 기억하세요.
① $H$는 대부분 +1의 산화수를 갖습니다.
- 단, $NaH$에서처럼, 폐급 No-1인 $Na$의 산화수 = +1 이므로, $H$의 산화수 = –1이 됩니다.
② $O$는 대부분 –2의 산화수를 갖습니다.
- 단, $H_2O_2$에서처럼, 폐급 No-2인 $H$의 산화수 = +1 이므로, $O$의 산화수 = –1이 됩니다.
6. 복잡한 분자의 산화수를 구하는 연습문제
1) $MnO_4^-$
- O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2) $NO, NO2, N2O, NO3^-$
- O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 탄소화합물의 경우도 O(-2)와 H(+1)을 기준으로, C의 산화수를 구하면 된답니다.
3) $Ag_2S, H_2S$
- $Ag_2S$ 와 같이, 모든 원자의 산화수를 모를 땐,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를 기준으로 구하면 됩니다.
4) $F - C ≡ N$
- 전기음성도를 비교하면 C는 공유전자쌍을, F에 1개, N에 3개를 내어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러므로 F의 산화수 : -1, N의 산화수 : -3, C의 산화수 : +4
5) $H - N = O$
- 전기음성도를 비교해 보면 N는 H에서 전자를 1개 가져오고, O에게 전자 2개 내어줍니다.
- 그러므로 N의 산화수 : +1, O의 산화수 : -2, H의 산화수 : +1
6) $C_6H_1$$_2$$O_6$(포도당)
- 어려워 마시고 산화수 규칙만 적용하면 됩니다. 즉, H의 산화수 +1, O의 산화수 -2
- H = 12 x (+1) + O = 6 × (-2) + C = 0, C의 산화수 = 0
지금까지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과 산화수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목이 그래서 그렇지 규칙만 알고 있으면 어렵지 않습니다.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은 반드시 암기해 두세요. 위험물의 화학반응식에 많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위험물 기능장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식(분자식, 실험식, 시성식, 구조식, 이온식), 화학식과 분자식의 차이점 (0) | 2023.12.02 |
---|---|
물질, 원소(Element), 원자(Atom), 분자(Molecule), 화합물(Compound), 화학식(분자식, 실험식, 구조식) (0) | 2023.12.01 |
산화-환원(redox, 酸化還元), 전자의 이동, 산화수와 산화상태 (0) | 2023.11.29 |
전기음성도(전기력), 금속의 이온화 경향, 금속과 비금속의 양쪽성 원소, 암기법 (1) | 2023.11.28 |
이온결합 화합물 실험식(화학식) 작성 방법 (0) | 2023.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