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

자동화재탐지설비_수신기 적합기준 및 설치기준, 축적형 수신기 적용대상, 암기법

by 더불어숲 2022. 9. 29.
반응형

소방시설관리사(소방관리사) 2차 시험 준비 자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적합 기준 및 설치기준, 축적형 수신기 적용대상 관련 포스팅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 2차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수신기 적합 기준  경4가

    ① 해당 특정소방대상물 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 설치할 것

    ② 4층 이상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 통화 가능한 수신기 설치할 것

    ③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스누설탐지설비 설치된 경우

         - 가스누설탐지설비로부터 가스누설 신호 수신하여 가스누설 경보할 수 있는 수신기 설치할 것

 

 

 

2. 수신기 설치기준

    설치장소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 상시 관계자 근무 장소 없는 경우는 관계인 접근이 쉽고 관리 용이한 장소 설치할 것

        ㉡ 수신기 설치장소에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할 것

            -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수신기 상황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주수신기) 설치하는 경우 주수신기 제외한 기타 수신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경계구역

        ㉠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 수신기는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화재·가스·전기 등에 대한 종합방재반 설치한 경우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 작동하는 경계구역 표시할 할 것

 

   수신기

        ㉠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되게 한다

        ㉡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 장소에 설치한다

        ㉢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이상 수신기 설치하는 경우 수신기 상호 간 연동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3. 축적형 수신기 적용 대상(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 및 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에 적응성 있는 감지기 

    (열ㆍ연기 또는 먼지로 인해 화재신호 발신할 우려 있는 장소)

    1) 축적형 수신기 적용대상(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

        ⓜ 무지한(환) 뱃사공의 인삼         

        ① 창층ㆍ하층  등으로 기가 잘되지 않는 장소

        ② 무창층ㆍ지하층 등으로서 실내 면적 40m2 미만인 장소

        ③ 감지기 부착면과 실내 바닥과의 거리 2.3m 이하인 장소

 

    2) 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에 적응성 있는 화재감지기

        ⓜ 축! 아다정 광분해서 불복했다

        ① 적방식 감지기  

        ② 나로그방식 감지기  

        ③ 신호방식 감지기

        ④ 온식감지선형감지기  

        ⑤ 전식분리형감지기  

        ⑥ 포형감지기

        ⑦ 꽃감지기  

        ⑧ 합형감지기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 목차 Style 시작 */ /* 목차 Style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