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관리사(소방관리사) 2차 시험 준비 자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적합 기준 및 설치기준, 축적형 수신기 적용대상 관련 포스팅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 2차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수신기 적합 기준 ⓜ 경4가
① 해당 특정소방대상물 경계구역을 각각 표시할 수 있는 회선수 이상의 수신기 설치할 것
② 4층 이상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 통화 가능한 수신기 설치할 것
③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에 가스누설탐지설비 설치된 경우
- 가스누설탐지설비로부터 가스누설 신호 수신하여 가스누설 경보할 수 있는 수신기 설치할 것
2. 수신기 설치기준
① 설치장소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 상시 관계자 근무 장소 없는 경우는 관계인 접근이 쉽고 관리 용이한 장소 설치할 것
㉡ 수신기 설치장소에 경계구역 일람도 비치할 것
-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수신기 상황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주수신기) 설치하는 경우 주수신기 제외한 기타 수신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경계구역
㉠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 수신기는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화재·가스·전기 등에 대한 종합방재반 설치한 경우 해당 조작반에 수신기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 작동하는 경계구역 표시할 할 것
③ 수신기
㉠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되게 한다
㉡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 장소에 설치한다
㉢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에 2이상 수신기 설치하는 경우 수신기 상호 간 연동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3. 축적형 수신기 적용 대상(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 및 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에 적응성 있는 감지기
(열ㆍ연기 또는 먼지로 인해 화재신호 발신할 우려 있는 장소)
1) 축적형 수신기 적용대상(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
ⓜ 무지한(환) 뱃사공의 인삼
① 무창층ㆍ지하층 등으로 환기가 잘되지 않는 장소
② 무창층ㆍ지하층 등으로서 실내 면적 40m2 미만인 장소
③ 감지기 부착면과 실내 바닥과의 거리 2.3m 이하인 장소
2) 비화재보 발생우려 장소에 적응성 있는 화재감지기
ⓜ 축! 아다정 광분해서 불복했다
① 축적방식 감지기
② 아나로그방식 감지기
③ 다신호방식 감지기
④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⑤ 광전식분리형감지기
⑥ 분포형감지기
⑦ 불꽃감지기
⑧ 복합형감지기

'소방시설관리사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재탐지설비_R형 수신기와 중계기 통신방식 및 설치기준 (0) | 2022.09.30 |
---|---|
자동화재탐지설비_연기(광전식 및 이온화식) 또는 열(차동식 및 정온식)감지기 작동원리 (0) | 2022.09.30 |
자동화재탐지설비_경계구역 설정기준 (0) | 2022.09.28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_가스계 소화약제 약제량 확인 방법 (0) | 2022.09.27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_기동장치, 소화설비 배관, 분사헤드 설치기준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