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두의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혜택,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2편) - 감면율, 한도, 신청 방법

by 더불어숲 2024. 12. 30.
반응형

13월의 월급을 위한 필수 정보!

 지난 1편에서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의 개념과 감면 대상, 감면 요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감면율과 한도는 얼마나 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 등 좀 더 실질적인 정보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감면율과 한도: 얼마나 혜택을 볼 수 있을까요?

 

감면율과 감면 기간은 감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대상 감면율 감면 기간 연간 감면 한도
청년 90% 5년 200만원
60세 이상 고령자 70% 3년 200만원
장애인 70% 3년 200만원
경력단절여성 70% 3년 200만원

 

    1. 청년:

         5년 동안 소득세의 9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즉,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60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3년 동안 소득세의 7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감면 혜택 계산: 예시로 알아보기

 

1. 청년:

     연봉 3,000만원인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소득세 감면을 받는 경우, 5년 동안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5년이면 총 1,000만 원의 세금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

 

2. 60세 이상 고령자:

     연봉 2,500만원인 60세 이상 고령자가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소득세 감면을 받는 경우, 3년 동안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년이면 총 600만 원의 세금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감면 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감면 혜택을 받으려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작성하여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서는 취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관련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1. 신청서 작성:

신청서는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에는 인적 사항, 취업 정보, 감면 대상 유형 등을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2. 관련 서류:

감면 대상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릅니다.

     ① 청년: 병역복무기간을 증명하는 서류 (ex. 병적증명서)

     ② 장애인: 장애인등록증

     ③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ex. 경력증명서, 육아휴직 확인서 등)

 

3. 제출 방법:

작성한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회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회사는 감면 대상 명세서를 작성하여 세무서에 제출합니다.

 

 

 

감면 신청 시 주의 사항

 

1. 신청 기한:

감면 신청은 취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해야 하지만, 이 기한을 넘긴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 기한 후 신청:

      기한 후 신청은 회사를 통해 진행하며, 회사는 경정청구를 통해 감면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2. 제출 서류:

감면 대상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르므로, 미리 확인하여 준비해야 합니다.

    - 서류 미비: 제출 서류가 미비한 경우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신청 전에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3. 신청 방법:

감면 신청은 회사를 통해 진행하며, 회사는 감면 대상 명세서를 작성하여 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 회사 확인:

      회사에 감면 신청 절차를 문의하고, 필요한 서류와 제출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직 시 감면, 세법 개정으로 인한 변경 사항 등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다음 편을 더 빨리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


/* 목차 Style 시작 */ /* 목차 Style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