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을 위한 필수 정보!
지난 1편에서는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의 개념과 감면 대상, 감면 요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감면율과 한도는 얼마나 되는지, 신청 방법은 무엇인지 등 좀 더 실질적인 정보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감면율과 한도: 얼마나 혜택을 볼 수 있을까요?
감면율과 감면 기간은 감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대상 | 감면율 | 감면 기간 | 연간 감면 한도 |
청년 | 90% | 5년 | 200만원 |
60세 이상 고령자 | 70% | 3년 | 200만원 |
장애인 | 70% | 3년 | 200만원 |
경력단절여성 | 70% | 3년 | 200만원 |
1. 청년:
5년 동안 소득세의 9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즉,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60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3년 동안 소득세의 70%를 감면받을 수 있으며, 연간 최대 200만 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감면 혜택 계산: 예시로 알아보기
1. 청년:
연봉 3,000만원인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소득세 감면을 받는 경우, 5년 동안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5년이면 총 1,000만 원의 세금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
2. 60세 이상 고령자:
연봉 2,500만원인 60세 이상 고령자가 중소기업에 취업하여 소득세 감면을 받는 경우, 3년 동안 매년 최대 200만 원의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3년이면 총 600만 원의 세금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감면 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감면 혜택을 받으려면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신청서"를 작성하여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신청서는 취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제출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관련 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1. 신청서 작성:
신청서는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에는 인적 사항, 취업 정보, 감면 대상 유형 등을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2. 관련 서류:
감면 대상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릅니다.
① 청년: 병역복무기간을 증명하는 서류 (ex. 병적증명서)
② 장애인: 장애인등록증
③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ex. 경력증명서, 육아휴직 확인서 등)
3. 제출 방법:
작성한 신청서와 관련 서류를 회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회사는 감면 대상 명세서를 작성하여 세무서에 제출합니다.
감면 신청 시 주의 사항
1. 신청 기한:
감면 신청은 취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해야 하지만, 이 기한을 넘긴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 기한 후 신청:
기한 후 신청은 회사를 통해 진행하며, 회사는 경정청구를 통해 감면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2. 제출 서류:
감면 대상 유형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르므로, 미리 확인하여 준비해야 합니다.
- 서류 미비: 제출 서류가 미비한 경우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신청 전에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3. 신청 방법:
감면 신청은 회사를 통해 진행하며, 회사는 감면 대상 명세서를 작성하여 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 회사 확인:
회사에 감면 신청 절차를 문의하고, 필요한 서류와 제출 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직 시 감면, 세법 개정으로 인한 변경 사항 등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다음 편을 더 빨리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모두의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말정산, 근로소득 세액공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0) | 2024.12.31 |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혜택,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3편) - 이직, 세법 개정, Q&A (0) | 2024.12.30 |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혜택,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1편) - 대상과 조건 (4) | 2024.12.30 |
벼랑 끝 고용 지키는 든든한 버팀목, 연말정산 '고용유지중소기업근로자' 소득공제 완벽 해부! (1) | 2024.12.29 |
우리사주조합출연금 소득공제: 연말정산 400만원 혜택, 완벽 가이드! (1) | 2024.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