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설치 목적, 거실제연설비와 차이점, 용어 정의

by 더불어숲 2023. 2. 7.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설치 목적, 거실제연설비와 차이점, 용어 정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설치 목적

    ① 계단실 및 부속실(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과 겸용하는 부속실과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 포함)에 대해 제연설비를 설치․ 유지함으로써 피난로 및 피난공간의 안전성을 확보하여 인명안전은 물론 소방관의 소화/구조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② 급기가압제연설비는 소방대상물의 제연구역 내(계단실, 부속실 또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신선한 공기를 주입하여 옥내(화재발생 부분)보다 압력을 높게 하여 화재 시 발생한 연기 또는 열기가 제연구역으로 확산,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피난자의 피난과 소화 종사자의 원활한 소화활동을 위해 설치한다.

 

 

1. 제연 개념

    ① 화재시 건물 내에서 발생된 연기를 배출, 유동 또는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연이라 한다.

    ② 제연 원리는 발생된 연기를 희석(dilution), 배출(exhaust), 차단(confinement) 등의 조합에 의한다.

    ③ 제연설비는 화재실의 연기와 열기를 직접 배출시켜야 하며, 피난 및 소화활동을 위하여 배출시킨 배기량만큼 급기를 실시한다.

         ㉠ 연기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를 주입하며 연기를 배출시키는 경우 배기량은 면적이 아닌 높이(제연경계의 수직거리)의 함수이다.

         ㉡ 하부층(lower layer)은 피난 및 소화활동의 공간으로서 연기의 침투가 없거나 연기농도를 낮추어 청결층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며 급기량은 배기량 이상이어야 한다.

 

 

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와 거실제연설비의 차이점

 

 

3.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용어 정의

    1) 제연구역

        제연하고자 하는 ① 계단실 ② 부속실 ③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을 말한다

 

    2) 방연풍속

        옥내로부터 제연구역 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풍속

    

    3) 급기량

        제연구역에 공급하여야 할 공기의 양

  

    4) 누설량

        틈새를 통하여 제연구역으로부터 흘러나가는 공기량

 

    5) 보충량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

 

    6) 유입공기

        제연구역으로부터 옥내로 유입하는 공기로서

         ① 차압에 따라 누설하는 것

         ② 출입문 개방에 따라 유입하는 것

 

 

 

4. 제연설비 설치 대상

    ① 무대 바닥 면적이 200㎡ 이상인 문화 및 집회·종교·운동시설

    ②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영화상영관

    ③ 창문이 없거나 지하층에 설치된 근린생활시설, 판매·운수·숙박·위락·의료·노유자·(물류터미널) 창고시설 중 해당 용도로 사용되는 바닥면적의 총합이 1,000㎡ 이상인 층

    ④창문이 없거나 지하 충의 바닥면적이 1,000㎡ 이상인 시외버스정류장·철도·도시철도·공항·항만시설의 대기실 및 휴게실

    ⑤ 터널을 제외한 연면적이 1,000㎡ 이상인 지하가

    ⑥ 예상 교통량,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터널

    ⑦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피난계단, 비상용/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