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

제연설비 _ 거실제연설비 공기 유입구 설치 기준

by 더불어숲 2023. 1. 10.

제연설비 _ 거실제연설비 공기 유입구 설치 기준

공기유입구 상단을 배출구 하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는 이유는 ① 고온의 열기와 부력의 영향에 따라 천장 쪽으로 상승한 연기와 새로 들어온 공기가 뒤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② Hot Smoke층은 제연경계 부분에 머무르게 하고 축적되는 연기층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려는 것이다. ③ 제연경계 하부로는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신선한 공기로 청결층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④ 청결층을 유지함으로써 대규모 거실과 통로 등에서 피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 거실제연설비 유입구

    1. 공기유입방식 종류

        ① 유입풍도를 경유한 강제유입

              ㉠ 거실에서 배출하는 양 이상을 급기송풍기에 의해 급기 하는 방식

              ㉡ 영화관 등 방음을 필요로 하는 구획실이나 소규모 화재실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됨

       

       ② 유입풍도를 경유한 자연유입방식

             ㉠ 창문 등 개구부를 이용하여 해당 제연구역에 급기하는 방식

            ㉡ 화재안전기준에서 다루고 있으며 현실적 적용 곤란하지만 배연창 구조를 이용한 설계에 가끔 적용되기도 함

 

       ③ 인접한 제연구역 또는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가 해당 구역으로 유입되는 방식

            - 가압의 결과를 일으키는 경우 포함

           ㉠ 인접한 제연구역에서 거실에 배출하는 양 이상을 급기송풍기에 의해 급기 하는 방식

           ㉡ 일반적인 공기유입방식으로 인접구역 유입방식은 ‘거실급배기방식, 거실배출·통로급기방식’ 2가지가 있다

 

 

    2. 예상제연구역에 설치되는 공기유입구 설치기준

         ① 벽으로 구획된 바닥면적 400 미만 거실

               ㉠ 제연구역은 칸막이 등의 벽으로 구획한다. 다만 통로와의 구획은 제연경계로 설치 가능

               ㉡ 바닥 외 장소에 설치한다

                     - 유입구는 배출구와 동일한 레벨인 반자 또는 벽에 설치할 수 있다

               ㉢ 유입구와 배출구와의 거리는 연기와 유입공기 혼합 방지하기 위해 5m 이상 이격 한다.

               ㉣ 공연장 · 집회장 · 위락시설의 경우, 용도상 화재 시 조기 피난이 매우 중요하므로 바닥 면적

         200 초과시에는 '②' 기준을 따른다

        ② 벽으로 구획된 바닥면적 400 이상 거실

             ㉠ 제연구역은 칸막이 등의 벽으로 구획한다. 다만 통로와의 구획은 제연경계로 설치 가능

             ㉡ 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에 설치하고 바닥 주변에 2m 이내 가연성 물질 없도록 할 것

        ③ 제연경계로 구획되거나 통로가 제연구역인 경우

              ㉠ 급기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

                    - 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에 설치

 

    ㉡ 급기구를 벽 이외의 곳에 설치한 경우

         - 반자 높이의 중간 이하 위치에 설치하며 가장 짧은 제연경계 하단보다 낮아야 한다

 

★ 유입구 상단 위치

 

 

    3. 공동예상구역에 설치되는 공기유입구 설치기준

           ① 벽으로 구획된 공동제연의 경우

               ㉠ 급기구를 반자에 설치할 수 없으며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 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에 설치할 경우 유입구 주변 2m 이내 가연물 없어야 한다

 

        ② 제연경계로 구획된 공동제연의 경우

            ㉠ 급기구를 벽에 설치한 경우

                   - 바닥에서 1.5m 이하 위치에 설치

 

 

          ㉡ 급기구를 벽 이외의 곳에 설치한 경우

               - 실 높이의 중간이하 위치에 설치하며 가장 짧은 제연경계 하단보다 낮아야 한다.

 

★ 유입구 상단 위치

 

    4. 아래와 같은 경우 유입구 설치기준

        ① 인접한 제연구역

        ②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를 당해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으로 하는 경우는 그 인접한 제연구역

        ③ 통로의 유입구가 제연경계하단보다 높은 경우는 그 인접한 제연구역

        ④ 통로 화재 시

             ㉠ 각 유입구는 자동폐쇄 될 것

             ㉡ 해당구역 내 설치된 유입풍도가 당해 제연구획 부분을 지나는 곳에 설치된 댐퍼는 자동폐쇄될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