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

'23. 7. 1 시행,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 설치 강화

by 더불어숲 2023. 10. 28.

소방청은 현행 「임시소방시설의 화재안전 성능기준」을 전부 개정한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을 발령하고 2023년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건설현장의 대형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화재안전기준을 정비하고 강화한 것입니다.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화재안전기준 개정은 2020 4월 경기도 이천 물류센터 신축공사장 화재 사고를 계기로 추진되었습니다.( 2020년 4 29일 발생한 경기도 이천 건설현장 화재로 용접 불티가 천장 우레탄 폼에 튀어 발화하여 총 50명(사망 38, 중상 4, 경상 8)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건설현장은 다수의 작업자가 함께 근무하며 내장재 및 외장재 등의 건축자재는 가연성 제품이 많고, 용접‧용단 등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공간 특성상 화재 위험이 상당히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작업 중에 발생하는 소음은 화재를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건축 중인 건축물로 소방시설도 없기 때문에 피난 시 피난로가 확보되지 않아 고립되거나 피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을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1. 주요 개정 내용

    1) 기존 임시소방시설 종류

        ①  소화기

          ② 간이소화장치

          ③ 비상경보장치

          ④ 간이피난유도선

기존 임시소방시설


    2) 임시소방시설 3가지 추가 

          - 2023년 7월 1일 이후 특정소방대상물의 신축, 증축 신청, 신고하는 경우부터 적용합니다.

          ① 가스누설경보기

          ② 방화포

          ③ 비상조명등

추가된 임시소방시설

    2) 소화기는 각 층 계단실마다 계단실 출입구 부근에 2개 이상 설치할 것
    3) 간이소화장치는 성능인증제품으로 사용하고 휴대용 확성기는 사용 불가
    4)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세부업무 규정

 

 


2. 임시소방시설의 종류 7가지

       ① 소화기

       ② 간이소화장치

       ③ 비상경보장치

       ④ 가스누설경보기

       ⑤ 간이피난유도선

       ⑥ 비상조명등

       ⑦ 방화포

구분 현재 변경 설치대상 공사의 종류 및 규모
1 소화기  신축, 증축, 용도변경 또는 대수선공사
2 간이소화장치  - 연면적 3,000m2 이상
 - 바닥면적 600m2 이상의 지하층·무창층
3 비상경보장치  - 연면적 400m2 이상
 - 바닥면적 150m2 이상의 지하층·무창층
4 간이피난유도선  바닥면적 150m2 이상의 지하층·무창층
5 가스누설경보기 -
6 비상조명등 -
7 방화포 -  용접·용단 작업이 진행되는 화재위험작업

 

3. 임시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할 공사의 종류 및 규모

임시소방시설 7가지
소화기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신축·증축·개축·재축·이전·용도변경 또는 대수선 등을 위한 공사 중 화재위험작업의 현장에 설치
간이소화장치
① 연면적 3천㎡ 이상
② 지하층, 무창층 또는 4층 이상의 층. 이 경우 해당 층의 바닥면적이 600㎡이상인 경우만 해당
비상경보장치
① 연면적 400㎡이상
② 지하층 또는 무창층. 이 경우 해당 층의 바닥면적이 150㎡ 이상인 경우만 해당
방화포
용접·용단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현장
간이피난유도선
바닥면적이 150㎡ 이상인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작업현장
가스누설경보기
바닥면적이 150㎡ 이상인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작업현장
비상조명등
바닥면적이 150㎡ 이상인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작업현장

 

4. 임시소방시설 설치 기준

    1) 소화기

        각 층 계단 출입구 부근에 소화기(3 단위) 2개 이상 설치하고, 작업지점 5m 이내(소형 2 + 대형 1) 설치할 것


    2) 간이소화장치

        작업지점 25m 이내에 방수압력 0.1 Mpa 이상, 방수량 65L 이상, 수원 20분 이상 확보할 것

        - 면제조건 ①옥내소화전설비 설치 ② 연결송수관설비 + 대형소화기를 6개 이상 배치한 경우


    3) 비상경보장치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각 층 직통계단의 출입구마다 설치(시각경보기 포함)할 것


    4) 가스누설경보기

        지하층·무창층 구획실마다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지점 수평거리 10m 이내에 설치할 것


    5)  간이피난유도선

         지하층·무창층에 녹색광원점등으로 직통계단입구마다 건물 내부로 길이 10m 이상 설치할 것


    6) 비상조명등

        지하층·무창층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의 계단실 내부에 각 층마다 설치(비상전원 20분)할 것


    7) 방화포

        용접·용단 작업 시 11m 이내에 가연물이 있는 경우 해당 가연물을 방화포로 보호할 것


    8) 소방안전관리자

        위험물 등 비치 장소에 화기 등을 취급하는 작업을 방지하는 등 업무수행 할 것

 

 

5. 임시소방시설을 설치한 것으로 보는 소방시설

    ① 간이소화장치

           ㉠ 옥내소화전설비 

          ㉡ 연결송수관설비와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 인근에 대형소화기를 6개 이상 배치한 경우 

 

    ② 비상경보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보는 소방시설

         - 비상방송설비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간이피난유도선을 설치한 것으로 보는 소방시설

         - 피난유도선,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또는 비상조명등

 

 

6. 임시소방시설 설치 기준 (화재안전성능기준 제정 전·후) 비교

 

 

7.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 전문 수록

건설현장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606)

[시행 2023. 7. 1.] [소방청고시 제2023-23호, 2023. 6. 28., 전부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1, 7532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5조제4항에 따른 임시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 기준과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8 제1호에 따른 임시소방시설의 성능을 정하고,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9조제2항제7호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를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임시소방시설"이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5조제1항에 따른 설치 및 철거가 쉬운 화재대비시설을 말한다. 

2. "소화기"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101)」 제3조제2호에서 정의하는 소화기를 말한다. 

3. "간이소화장치"란 건설현장에서 화재발생 시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물을 방수하는 형태의 소화장치를 말한다. 

4. "비상경보장치"란 발신기, 경종, 표시등 및 시각경보장치가 결합된 형태의 것으로서 화재위험작업 공간 등에서 수동조작에 의해서 화재경보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비상벨 장치를 말한다. 

5. "가스누설경보기"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가연성가스를 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를 말한다. 

6. "간이피난유도선"이란 화재발생 시 작업자의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케이블형태의 장치를 말한다. 

7. "비상조명등"이란 화재발생 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단실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 점등되는 조명등을 말한다. 

8. "방화포"란 건설현장 내 용접ㆍ용단 등의 작업 시 발생하는 금속성 불티로부터 가연물이 점화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차단막을 말한다. 

 제3조(적용범위) 이 고시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18조제2항 별표 8 제1호에 따른 임시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제4조(다른 화재안전성능기준과의 관계) 건설현장의 임시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와 관련하여 이 기준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은 개별 화재안전성능기준을 따른다.

 제5조(소화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 소화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소화기의 소화약제는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101)」 제4조제1호에 따른 적응성이 있는 것을 설치해야 한다. 

2. 각 층 계단실마다 계단실 출입구 부근에 능력단위 3 단위 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을 설치하고,  제18조 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5 미터 이내의 쉽게 보이는 장소에 능력단위 3 단위 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과 대형소화기 1개 이상을 추가 배치해야 한다. 

3. "소화기"라고 표시한 축광식 표지를 소화기 설치장소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하여야 한다. 

 제6조(간이소화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 간이소화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20분 이상의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수원을 확보해야 한다. 

2. 소화수의 방수압력은 0.1 메가파스칼 이상, 방수량은 분당 65 리터 이상이어야 한다. 

3. 영제18조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25 미터 이내에 배치하여 즉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4. 간이소화장치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간이소화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해야 한다. 

5. 영제18조제2항 별표 8 제3호가목에 따라 당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는 다음 각 목의 소방시설을 사용승인 전이라도 「소방시설공사업법」 제14조에 따른 완공검사(이하 "완공검사"라 한다)를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 경우 간이소화장치를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가. 옥내소화전설비 

나. 연결송수관설비와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 인근에 대형소화기를 6개 이상 배치한 경우 

 제7조(비상경보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 비상경보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각 층 직통계단의 출입구마다 설치해야 한다. 

2. 발신기를 누를 경우 해당 발신기와 결합된 경종이 작동해야 한다. 이 경우 다른 장소에 설치된 경종도 함께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3. 경종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 미터 떨어진 위치에서 100 데시벨 이상이 되는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4. 발신기의 위치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 면으로부터 15도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 미터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할 것 

5. 시각경보장치는 발신기함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바닥으로부터 2 미터 이상 2.5 미터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여 건설현장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할 수 있도록 할 것 

6. 발신기와 경종은 각각 「발신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과 「경종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표시등은 「표시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7. "비상경보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비상경보장치 상단에 부착해야 한다. 

8. 비상경보장치를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을 확보해야 한다. 

9. 영제18조제2항 별표 8 제3호나목에 따라 당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또는 비상방송설비를 사용승인 전이라도 완공검사를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 경우 비상경보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8조(가스누설경보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 가스누설경보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제18조제1항제1호에 따른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하는 지하층 또는 무창층 내부(내부에 구획된 실이 있는 경우에는 구획실마다)에 가연성가스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하는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10 미터 이내에 바닥으로부터 탐지부 상단까지의 거리가 0.3 미터 이하인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2. 가스누설경보기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제9조(간이피난유도선의 성능 및 설치기준) 간이피난유도선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제18조제2항 별표 8 제2호마목에 따른 지하층이나 무창층에는 간이피난유도선을 녹색 계열의 광원점등방식으로 해당 층의 직통계단마다 계단의 출입구로부터 건물 내부로 10 미터 이상의 길이로 설치해야 한다. 

2. 바닥으로부터 1 미터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피난유도선이 점멸하거나 화살표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업장의 어느 위치에서도 피난유도선을 통해 출입구로의 피난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층 내부에 구획된 실이 있는 경우에는 구획된 각 실로부터 가장 가까운 직통계단의 출입구까지 연속하여 설치해야 한다. 

4. 공사 중에는 상시 점등되도록 하고, 간이피난유도선을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을 확보해야 한다. 

5. 영제18조제2항 별표 8 제3호다목에 따라 당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는 피난유도선,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또는 비상조명등을 사용승인 전이라도 완공검사를 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 경우 간이피난유도선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0조(비상조명등의 성능 및 설치기준) 비상조명등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제18조제2항 별표 8 제2호바목에 따른 지하층이나 무창층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의 계단실 내부에 각 층마다 설치해야 한다. 

2.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조도는 각 부분의 바닥에서 1 럭스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3. 비상조명등을 20분(지하층과 지상 11층 이상의 층은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전원을 확보해야 한다. 

4. 비상경보장치가 작동할 경우 연동하여 점등되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5. 비상조명등은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비상조명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해야 한다. 

 제11조(방화포의 성능 및 설치기준) 방화포의 성능 및 설치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용접ㆍ용단 작업 시 11 미터 이내에 가연물이 있는 경우 해당 가연물을 방화포로 보호하여야 한다. 다만,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1조제2항제4호에 따른 비산방지조치를 한 경우에는 방화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방화포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해야 한다. 

 제12조(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건설현장에 배치되는 소방안전관리자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1. 방수ㆍ도장ㆍ우레탄폼 성형 등 가연성가스 발생 작업과 용접ㆍ용단 및 불꽃이 발생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2. 가연성가스가 발생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사전에 가스누설경보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 중 또는 작업 후 가연성가스가 체류되지 않도록 충분한 환기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3. 용접ㆍ용단 작업을 할 경우에는 성능인증받은 방화포가 설치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도포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을 취급하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확인해야 한다. 

 제13조(설치ㆍ유지기준의 특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기존건축물의 증축ㆍ개축ㆍ대수선이나 용도변경으로 인해 이 기준에 따른 임시소방시설의 설치가 현저하게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임시소방시설의 기능 및 사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이 기준의 일부를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4조(재검토 기한) 소방청장은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고시에 대하여 2023년 7월 1일 기준으로 매 3년이 되는 시점(매 3년째의 6월 30일까지를 말한다)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부      칙 <제2023-23호, 2023.06.28.>

제1조(시행일) 이 고시는 2023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6조 제4호, 제8조 제2호 및 제11조 제2호의 개정규정은 이 고시가 시행된 이후 최초로 개정되는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과 제정되는 「간이소화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및 「방화포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의 시행일이 6개월 경과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① 이 고시 시행 전에 건축허가 등의 신청 또는 신고나 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를 하거나 설비 설치를 위한 공사계약을 체결한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해서는 종전 고시에 따른다.

② 이 고시 시행 전에 제1항에 따른 신청 또는 신고를 한 경우라도 개정 기준이 종전의 기준에 비해 관계인에게 유리한 경우에는 개정 기준에 따를 수 있다.

 

제3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이 고시 시행 당시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고시를 인용한 경우에 이 고시 가운데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종전의 규정에 갈음하여 이 고시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