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방시설(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간이스프링클러소화설비, 화재조기진압용(ESFR)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연결살수설비, 연결송수관설비) 별 송수구 설치기준이 각양각색인 걸 알고 계셨나요? 소방시설관리사 2차 준비하는 수험생께서는 각 소방시설 별 송수구 설치기준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송수구를 설치하는 모든 소방시설에 대한 송수구 설치기준을 정리했습니다.

■ 소방시설(소화시설) 별 송수구 설치 기준
옥내소화전 설비 |
SP설비 | 간이SP | ESFR SP | 물분무 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 연결살수설비 | 연결송수관설비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1. 송수구는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설치할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것 | 2. 송수구로부터 연결송수관설비의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때에는 그 개폐상태를 쉽게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옥외 또는 기계실 등의 장소에 설치하고, 그 밸브의 개폐상태를 감시제어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 스위치를 설치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해야 하며, 송수배관의 안지름은 40mm이상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3.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4.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6.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
7.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7.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7.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7.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6. 송수구의 부근에는 "연결살수설비 송수구"라고 표시한 표지와 송수구역 일람표를 설치할 것 | 7. 송수구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
8. 폐쇄형SP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을 설치할 것 | 8.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 이상을 설치할 것 | 8.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을 설치할 것 | 8. 송수구는 하나의 층의 바닥면적이 3,000m2를 넘을 때마다 1개 이상을 설치할 것(5개를 넘을 경우에는 5개로 한다) | 7.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마다 설치할 것 | 8. 송수구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연결송수관설비송수구"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
어떠세요? 소방시설 별 송수구 설치기준을 따로따로 볼 때와 한번에 볼 때 느낌이 완전 다르죠? 이렇게 하면 암기도 편하고 각 소화설비 별 송수구 설치기준이 어느 부분이 다른지 한눈에 알 수 있어 아준 편안할 것입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소방시설관리사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사한 소방시설의 설치 면제 기준 (0) | 2023.09.19 |
---|---|
가스계(이산화탄소, 할론,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저장용기 설치장소 적합기준 및 저장용기 설치기준 (0) | 2023.07.28 |
경보설비 설치 대상 특정소방대상물 및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기준 (1) | 2023.07.14 |
소화활동설비_연결살수설비 송수구, 선택밸브,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설치 기준 (0) | 2023.05.04 |
옥내소화전설비_가압송수장치 설치 기준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