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물 기능장/일반화학

산의 이온화 반응식과 염의 이온화 반응식

by 더불어숲 2023. 12. 16.

산의 이온화 반응식이란, 산이 물에 녹아서 수소 이온과 산기 이온으로 분리되는 반응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염산은 물에 녹아서 다음과 같이 이온화합니다.

$HCl + H_2O ⇌ H_3O^+ + Cl^-$

 

★ 참고 _ 무조건 암기할 원자단

★ 참고 _ 산화수를 구하는 규칙과 계산 방법

 

 

1. 산의 이온화 반응식 이해하기

탄산$(H_2CO_3)$이 이온화되면 $2H^+$와 $CO_3^2$$^+$가 되는 이유를 알게 되면 산의 이온화식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1) $H$원자 다음에 오는 숫자는 $H^+$ 이온의 개수입니다. 

         모든 산의 화학식에서 수소($H$) 원자 다음에 오는 숫자는 수소($H$) 원자의 개수($H^+$ 이온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산의 종류 H 원자 개수 이온화식
$HCl$ 1개 $H^+$
$HNO_3$ 1개 $H^+$
$H_2CO_3$ 2개 $H^2$$^+$
$H_2SO_4$ 2개 $H^2$$^+$
$H_3PO_4$ 3개 $H^3$$^+$

 

         - 3대 강산 : $HCl, H_2SO_4, HNO_3$

            위 3개의 강산은 물에서 이온화되면, 양이온($H^+$)을 내놓습니다.

 

산의 종류 이온화식
$HCl$ $H^+$ + $Cl^-$
$HNO_3$ $H^+$ + $NO_3^-$
$H_2CO_3$ $H^2$$^+$ + $CO_3^2$$^-$
$H_2SO_4$ $H^2$$^+$ + $SO_4^2$$^-$
$H_3PO_4$ $H^3$$^+$ + $PO_4^3$$^-$

 

 

    2)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  화합물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음이온의 전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① 양전하 + 음전하 = 0       

            ② (양이온의 개수 × 양이온의 전하) + (음이온의 개수 × 음이온의 전하) = 0

산의 종류 이온화식 이온의 전하
$HCl$ $H^+$ + $Cl^-$ (+1) + (-1) = 0
$HNO_3$ $H^+$ + $NO_3^-$ (+1) + (-1) = 0
$H_2CO_3$ $H^2$$^+$ + $CO_3^2$$^-$ 2(+1) + (-2) = 0
$H_2SO_4$ $H^2$$^+$ + $SO_4^2$$^-$ 2(+1) + (-2) = 0
$H_3PO_4$ $H^3$$^+$ + $PO_4^3$$^-$ 3(+1) + (-3) = 0

 

         - 2가산 : $H_2SO_4$

            $H_2SO_4$는 2개의 H원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이온화가 되면 $H^+$의 양이온 2개도 내어놓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2가 산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SO_4^2$$^-$는 원자단이기 때문에 한 덩어리로 이온화되는 되는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H_2SO_4(aq)$ → $2H^+(aq)$ + $SO_4^2$$^-(aq)$

 

참고로 $HNO_3(aq)$ → $H^+(aq)$ + $NO_3^-(aq)$에서 $NO_3^-$도 원자단이므로 이온화는 한 덩어리로 됩니다.

 

 

   3)  $NO_3^-$, $CO_3^2$$^-$, $SO_4^2$$^-$, $PO_4^3$$^-$ 등은 원자단입니다.

         원자단은 하나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온화가 될 때에도 하나로 이온화가 되는 것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원자단은 무조건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면 사실 암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

 

 

 

2. 아세트산$(CH_3COOH)$의 이온화식

     $CH_3COOH(aq)$  $H^+(aq) + CH_3COO^-(aq)$

    ① $HCl, H_SO_4$는 무기산인데 반하여 $CH_3COOH$는 유기화합물 즉, 유기산입니다.

     ② $CH_3COOH$의 구조식(이온화식 이해하려면 구조식을 알아야 합니다.)

           - 아세트산의 실험식 : $CH_2O$

           - 아세트산의 분자식 : $C_2H_4O_2$

           - 아세트산의 시성식 : $CH_3COOH$

아세트산의 구조식

               - 아세트산($CH_3COOH$)에서 카르복실기($-COOH$)는 산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H$원자가 이온화되는 이유는 카르복실기($-COOH$)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3. 염의 이온화 반응식

    ① 수산화나트륨

           $NaOH(aq) → Na^+(aq) + OH^-(aq)$

 

    ② 탄산칼슘

           $CaCO_3(s)$ $Ca^2$$^+(aq)$ + $CO_3^2$$^-(aq)$

 

     ③ 염화나트륨

          $NaCl(aq) → Na^+(aq) + Cl^-(aq)$

 

     ④ 탄산수소나트륨

          $NaHCO_3(aq) → Na^+(aq) + HCO_3^-(aq)$

 

     ⑤ 수산화마그네슘

           $Mg(OH)_2(s)$  ⇌ $Mg^2$$^+(aq)$ + $2OH^-(aq)$

 

     ⑥ 염화칼슘

          $CaCl_2(aq) → Ca^2+(aq) + 2Cl^-(aq)$

 

 

 

이번 시간에는 산의 이온화 반응식과 염의 이온화 반응식에 대해 공부를 했습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은 내용입니다. 자주 보고, 자주 써보고 하면서 공부해 보세요. 금방 몸이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