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이온화 반응식이란, 산이 물에 녹아서 수소 이온과 산기 이온으로 분리되는 반응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염산은 물에 녹아서 다음과 같이 이온화합니다.

1. 산의 이온화 반응식 이해하기
탄산

1) H 원자 다음에 오는 숫자는 H+ 이온의 개수입니다.
모든 산의 화학식에서 수소(
산의 종류 | H 원자 개수 | 이온화식 |
1개 | ||
1개 | ||
2개 | ||
2개 | ||
3개 |
- 3대 강산 :
위 3개의 강산은 물에서 이온화되면, 양이온(
산의 종류 | 이온화식 |
2) 다원자 이온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총합은 이온의 전하와 같습니다.
- 화합물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음이온의 전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① 양전하 + 음전하 = 0
② (양이온의 개수 × 양이온의 전하) + (음이온의 개수 × 음이온의 전하) = 0
산의 종류 | 이온화식 | 이온의 전하 |
(+1) + (-1) = 0 | ||
(+1) + (-1) = 0 | ||
2(+1) + (-2) = 0 | ||
2(+1) + (-2) = 0 | ||
3(+1) + (-3) = 0 |
- 2가산 :
참고로
3) NO−3 , CO23 − , SO24 − , PO34 − 등은 원자단입니다.
원자단은 하나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온화가 될 때에도 하나로 이온화가 되는 것에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원자단은 무조건 암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면 사실 암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
2. 아세트산(CH3COOH) 의 이온화식
①
②
- 아세트산의 실험식 :
- 아세트산의 분자식 :
- 아세트산의 시성식 :

- 아세트산(
3. 염의 이온화 반응식
① 수산화나트륨
② 탄산칼슘
③ 염화나트륨
④ 탄산수소나트륨
⑤ 수산화마그네슘
⑥ 염화칼슘
이번 시간에는 산의 이온화 반응식과 염의 이온화 반응식에 대해 공부를 했습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은 내용입니다. 자주 보고, 자주 써보고 하면서 공부해 보세요. 금방 몸이 기억하게 될 것입니다.

'위험물 기능장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농도와 퍼센트 농도의 개념과 문제풀이(위험물기능장 시험 대비) (0) | 2024.02.07 |
---|---|
유황(S)의 연소 반응식( |
2023.12.17 |
분자 반응식, 이온 반응식(이온화 반응식, 이온화식), 알짜 이온 반응식, 구경꾼 이온 (0) | 2023.12.15 |
알짜 이온 반응식 쓰고 구경꾼 이온 찾기 (0) | 2023.12.14 |
분자 반응식 작성하기, 분자 반응식 쓰기, 분자 반응식 만들기 (0) | 2023.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