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시설관리사/소방시설 자체점검 등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 설비 중 '중계기' 톺아보기

by 더불어숲 2023. 11. 4.

중계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요한 부품으로,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생한 화재신호를 수신기나 제어반에 전송하고, 소화설비나 제연설비 등의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계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수에 따라 분산형과 집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 중계기는 수신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각 계열별로 연결됩니다. 집합형 중계기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고, 내부에 정류기와 비상축전지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계기와 수신기간의 통신이 끊어져도 독립제어기능에 의해 자동절환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목차

1. 중계기 종류 및 특징

    1) 분산형 중계기

    2) 집합형 중계기

2. 중계기 설치기준

3.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4. 중계기 고장 원인 및 조치방법

5. 중계기의 점검 방법

 

 

 

 

1. 중계기 종류 및 특징

중계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요한 부품으로,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생한 화재신호를 수신기나 제어반에 전송하고, 소화설비나 제연설비 등의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계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수에 따라 분산형과 집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분산형 중계기

        수신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각 계열별로 연결됩니다. 분산형 중계기는 입력 1/출력 1, 입력 2/출력 2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감지기, 발신기, 경종, 시각경보기 등에 연결됩니다. 분산형 중계기는 전화선, 응답선, 표시등선은 중계기와 연결하지 않습니다.

 

    2) 집합형 중계기

        하나의 함에 많은 입력/출력 포인트를 구성한 것으로, 입력 32/출력 32 중계기를 많이 사용합니다. 집합형 중계기의 전원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고, 내부에 정류기와 비상축전지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계기와 수신기간의 통신이 끊어져도 독립제어기능에 의해 자동절환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2. 중계기 설치기준

중계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요한 부품으로,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생한 화재신호를 수신기나 제어반에 전송하고, 소화설비나 제연설비 등의 방재설비에 제어신호를 발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아니하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한다

 

    2)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3)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아니하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입력 측의 배선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전이 즉시 수신기 표시되는 것으로 하며, 상용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 지멘스

 

 

3. 중계기의 구조 및 기능

    1) 정격전압의 60V를 넘는 중계기의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퓨즈를 설치하여야 한다.

    3) 화재신호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는 조작부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수신 개시로부터 발신 개시까지의 시간이 5초 이내어야야 한다.

 

 

 

4. 중계기 고장 원인 및 조치방법

 

    1) 회로 단선

        중계기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선로의 저항값이 비정상인 경우입니다. 이때는 전류전압측정기로 선로의 전압을 확인하고, 종단저항을 교체하거나 선로를 수리해야 합니다.

 

    2) 통신 고장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이 불량한 경우입니다. 이때는 통신선로와 전원선로의 전압을 확인하고, 중계기의 어드레스 스위치를 점검하거나 중계기를 교체해야 합니다.

 

    3) 타입 고장

        중계기의 어드레스가 중복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중복된 중계기의 어드레스를 변경하거나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합니다

분산형중계기 계통 배선

 

 

5. 중계기의 점검 방법

중계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수에 따라 분산형과 집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 중계기는 수신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각 계열별로 연결됩니다. 집합형 중계기는 하나의 함에 많은 입력/출력 포인트를 구성한 것으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고, 내부에 정류기와 비상축전지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1) 통신, 전원, 입력, 출력 단자의 전압상태 및 단자조임상태를 확인합니다.

        통신단자는 평상시 화재 시 모두 DC 27V 정도 유지되어야 하고, 전원단자는 평상시 화재시 모두 DC 24V±10% 정도 유지되어야 합니다. 입력단자는 평상시 DC 24V±10% 정도 유지되지만, 화재시 DC 5V 이하로 떨어져야 하고, 출력단자는 평상시 DC 0V이지만, 화재 시 DC 24V로 되어야 합니다.

 

    2) 통신 LED 점멸 상태를 확인합니다.

        통신 LED는 수신기와 중계기간 통신이 잘되고 있으면 평상시 점멸 (깜박깜박)되어야 합니다. 점멸이 안되거나 켜지지 않으면 통신선로나 전원선로의 전압을 확인하고, 중계기의 어드레스 스위치를 점검하거나 중계기를 교체해야 합니다.

 

    3) 중계기 주소(Address) 설정 상태를 확인합니다.

        중계기 주소는 DIP 스위치로 지정하며, 메이커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지멘스 (구. 신화전자) 중계기는 DIP 스위치를 올리면 ON, 내리면 OFF이고, 8번은 항상 내려놓아야 합니다. 동방전자 (Tyco) 중계기는 DIP 스위치를 내리면 ON, 올리면 OFF이고, 7번까지 있습니다. 중계기 주소는 고정값이므로 불량으로 교체시나 특별히 만지지 않으면 변경될 일이 없습니다. 신규교체 시는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신규에 DIP 스위치를 일치시키고 교체하셔야 합니다.

 

    4) 중계기 전원공급장치 정상상태를 확인합니다.

        중계기 전원공급장치는 220V 상용전원과 DC24V 예비전원을 사용하고, 전원 변환장치와 배터리 충전장치를 내장하고 있습니다. 전면부에 교류전원정상, 출력전압정상, 예비전원감시 등의 상태 표시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예비전원은 감시상태 60분, 경보상태 10분을 유지해야 하므로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5) 입력단자의 종단저항 접속상태를 확인합니다.

        입력단자에 연결된 선로의 저항값이 비정상인 경우, 회로 단선이나 감지기 불량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전류전압측정기로 선로의 전압을 확인하고, 종단저항을 교체하거나 선로를 수리해야 합니다.

 

    6) 수신기에 중계기 입/출력표가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점검 및 에러발생 시 입/출력표를 보면 중계기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구성 중 하나인 중계기의 설치기준, 구조 및 기능, 고장원인 및 조치방법, 점검방법 등에 확인했습니다. 소방설비기사, 소방시설관리사, 소방기술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실무자 여러분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