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프링클러소화설비15

스프링클러설비_경사 지붕 헤드 설치하는 경우, 하향식 헤드 설치할 수 있는 경우, 보와 헤드 거리, 측벽형 헤드 설치기준 1. 경사 지붕에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하는 경우 ① 천장 기울기 1/10 초과하는 경우 - 가지관을 천장의 마루와 평행하게 설치 ② 천장 최상부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경우 - 반사판을 수평으로 설치 ③ 천장 최상부를 중심으로 가지관을 서로 마주 보게 설치하는 경우 - 최상부 가지관 상호간 거리 가지관 상의 스프링클러헤드 상호 간 거리의 1/2 이하(최소 1m 이상)가 되게 헤드를 설치한다. - 가지관 최상부에 설치하는 헤드 천장 최상부로부터 수직거리가 90cm 이하가 되도록 한다. - 톱날지붕, 둥근지붕, 기타 이와 유사 한 지붕의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2.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에서 하향식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할 수 있는 경우 (관설 2) ①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2022. 7. 2.
스프링클러소화설비_스프링클러헤드 종류,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하는 경우, 스프링클러헤드 수평거리 기준, 랙크식창고 스프링클러헤드 설치높이 기준 1. 개방형ㆍ폐쇄형ㆍ조기반응형ㆍ측벽형ㆍ건식 스프링클러헤드 정의 ①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감열체 없이 방수구가 항상 열려 있는 스프링클러헤드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정상상태에서 방수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일정 온도에서 자동적으로 파괴 · 용해 또는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개방되는 스프링클러헤드 ③ 조기반응형헤드 표준형스프링클러헤드 보다 기류온도 및 기류속도에 조기에 반응하는 것 ④ 측벽형 스프링클러헤드 가압된 물이 분사될 때 헤드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반원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헤드 ⑤ 건식 스프링클러헤드 물과 오리피스가 분리되어 동파를 방 지 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헤드를 말한다. 2. 문화 및 집회시설(동·식물원은 제외), 종교시설(주요구조부가 목조인 것은 제외), 운동시설(물놀이형 시설은 제외)로서.. 2022. 7. 1.
스프링클러소화설비_펌프가 작동되는 경우,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설치기준 1. 스프링클러설비 가압송수장치로서 펌프가 설치되는 경우 펌프가 작동되는 경우 ① 습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유수검지장치의 발신이나 기동용수압개폐장치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이 두 가지의 혼용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할 것 ②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나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에 따라 작동되거나 또는 이 두 가지의 혼용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것 2. 스프링클러설비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 설치기준 ①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헤드가 개방되면 유수검지장치가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에 따라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할 것 ②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 개방밸브를.. 2022. 6. 30.
스프링클러소화설비_습식 및 건식설비 시험장치 설치 기준, 동밸브 2차 측배관 부대설비 설치 기준, 급수개폐밸브 작동표시 스위치 설치기준, 배관 기울기 1. 습식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유수검지장치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시험장치 설치 기준 ① 습식 및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 유수검지장치 2차측 배관에 연결하여 설치 ②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 유수검지장치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가지배관의 끝으로부터 연결하여 설치할 것 ③ 유수검지장치 2차측 설비 내용적 2,840L 초과하는 건식스프링클러설비 - 시험장치 개폐밸브 완전 개방 후 1분 이내 물이 방사되어야 한다. ④ 시험장치 배관의 구경은 25mm 이상으로 하고, 그 끝에 개폐밸브 및 개방형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와 동등한 방수성능을 가진 오리피스를 설치할 것. ⑤ 개방형헤드는 반사판 및 프레임을 제거한 오리피스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⑥ 시험배관 끝에는 물받이 통 및 배수관을 설치하여 시험 중 방사된 물.. 2022. 6. 29.
스프링클러소화설비_준비작동식 Block Diagram, 교차회로방식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장소 별 헤드 설치 기준 개수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는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1차 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2차 측에서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 또는 저압으로 있다가 화재 발생 시 감지기 작동으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어 스프링클러헤드가 열에 따라 개방되는 방식의 설비다. 1.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동작 순서 Block Diagram (관설 17) 2. 준비작동식 또는 일제개방밸브 작동을 위한 화재감지기 회로로 교차회로방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관설 4, 11) ①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또는 헤드에 누설경보용 또는 압축공기가 채워지거나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경우 ② 화재감지기를 다음 감지기로 설치한 경우 (ⓜ 축! 아다.. 2022. 6. 27.
스프링클러소화설비_습식, 부압식, 준비작동식, 건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별 작동방식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장점과 단점은 아래와 같다. - 장점 ① 초기화재에 적합하다 ② 소화약제가 물이므로 경제적이다 ③ 감지부가 기계적이므로 오보 및 오동작이 적다 ④ 조작이 쉽고 안전하다 ⑤ 자동적으로 화재감지 및 소화하므로 사람이 없을 때에도 효과적이다 ⑥ 화재진화 후 복구가 용이하다 - 단점 ① 초기 설치비용이 크다 ② 타 설비보다 시공이 복잡하다 ③ 물로 인한 2차 피해가 심하다 스프링클러소화설비에는 습식, 부압식, 준비작동식, 건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있으며 작동방식은 아래와 같다. 1. 습식스프링클러설비 가압송수장치에서 퍠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 열에 의해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 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는 설비다. .. 2022. 6. 25.
스프링클러소화설비 _ 실제살수밀도(ADD)와 필요살수밀도(RDD) 및 화재 제어ㆍ진압, 스프링클러헤드 k-factor 소방대상물의 천장, 벽 등에 스프링클러 헤드 및 감지기를 설치하고 화재 발생 시 헤드 및 감지기에 의하여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열감지 부분이 분해 이탈됨으로써 배관 내의 가압수 또는 압축공기가 방출되어 경보 밸브 및 가압송수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물을 일정 압력으로 방수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가장 우수한 소화설비이다. 1.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실제살수밀도(ADD)와 필요살수밀도(RDD) 및 화재 제어ㆍ진압 1) 실제살수밀도(ADD)와 필요진화밀도(RDD) ① 실제살수밀도 (ADD Actual Delivered Density) 스프링클러로부터 분사된 소화수 중에서 화염을 통과하여 연소 중인 가연물 상단에 도달한 양을 가연물 상단 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침투된 물의 분포밀도 ② 필요진화밀도.. 2022. 6. 22.
반응형

/* 목차 Style 시작 */ /* 목차 Style 종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