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방시설관리사/국가화재안전기준(NFSC)148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급기구 설치 기준, 외기 취입구 설치 기준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급기구 설치 기준, 외기 취입구 설치 기준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 부속실 제연설비 급기 기준 ① 동일수직선상에 있는 모든 부속실은 하나의 전용 수직 풍도를 통해 동시에 급기하고 둘 이상의 수직 풍도로 급기시에는 수직 풍도를 분리할 수 있다. ② 계단실 및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경우에는 계단실은 부속실의 수직풍도를 통해 급기 할 수 있다 ③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의 제연은 비상용승강기의 승강로를 급기풍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급기구 설치기준 ① 급기용 수직풍도와 직접 면하는 벽체 또는 천장에 고정하되, 급기 되는 기류 흐름이 출입문으로 인하여 차단되거나 방해받지 아니하도록 옥내와 면하는 출입문으로부터 가능한 먼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② 계단실과 그.. 2023. 2. 25. 급기 설치 기준 및 급기 송풍기 적합기준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급기 설치 기준 및 급기 송풍기 적합기준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① 부속실을 제연하는 경우 동일 수직선상의 모든 부속실은 하나의 전용 수직풍도에 따라 동시에 급기 할 것 연기가 부력 등의 연기구동력에 의해 상층부로 확산·이동하기 때문에 화재층만 급기 하지 않고 동일 수직선상의 부속실에 전층 급기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재 층에서 계단실로의 연기유입을 차단한다면 계단실을 통한 상층부 확산은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연돌효과와 피난, 시스템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 층 급기 가압에 대해서는 향후 재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다. ② 동일수직선상에 2대 이상의 급기송풍기가 설치되는 경우 수직풍도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고층 건축물에서 수직풍도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는 .. 2023. 2. 24.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을 알아보자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을 알아보자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배출구에 따른 배출은 건물의 옥내와 면하는 외벽마다 옥외와 통하는 배출구를 설치하여 배출하는 방식이다. 소방시설관리사와 소방기술사를 준비하는 수험자는 반드시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제연설비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꼬아놓은 문제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고 풀어낼 수 있게 된다. ■ 부속실 제연설비 배출구에 따른 배출방식 1. 배출구 ① 실제 건축물에서 복도 또는 내부 칸막이 등에 의하여 배출구에 의한 배출이 곤란한 구조의 경우에는 설계 시 이런 점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즉 제연구역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옥외로 정상적으로 배출되어 방연풍속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배출구.. 2023. 2. 23. 수직 풍도에 따른 배출 방식을 꿰뚫다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수직 풍도에 따른 배출 방식을 꿰뚫다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제연구역에서의 유입공기란? 제연구역에 유입되는 『유입공기』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전실 제연설비 작동으로 누설량에 해당하는 공기가 제연구역을 가득 메우게 된다. 둘째 피난자에 의해 출입문이 개방되면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해 보충량이 공급된다. 이것을 유입공기라고 한다. 다만 출입문 개방에 따른 방연풍속 형성을 위한 보충량을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유입공기로 보고 있다. 그러므로 수직풍도 단면적 계산 시 방연풍량(보충량)을 계산하고 있다. 제연구역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해야만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옥내에 차압 형성되어 누설량이 유입되면서 옥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피난으로 출입문 개방 시 방연풍속 유지를 위한 보충량.. 2023. 2. 21. 유입공기 배출방식(수직풍도, 배출구, 제연설비)을 꿰뚫다.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유입공기 배출방식(수직풍도, 배출구, 제연설비)을 꿰뚫다. _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유입공기』란 제연구역으로부터 옥내(화재구역)로 유입되는 공기 즉, 차압에 의한 급기량과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화재실로 유입되는 보충량 공기를 유입공기라 한다. 유입공기는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에 방연풍속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개방된 출입문을 통해 옥내로 유입되는 공기로서 화재 층의 제연구역과 면하는 옥내에서 옥외로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단, 직통계단식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를 유입공기 배출장치라고 한다. 유입공기의 배출은 수직풍도, 배출구, 제연설비 중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해야 한다. 소방관의 소방활동을 위한 비상용 승강기 승강장 및 특별피난계단 부속실 소방관의.. 2023. 2. 20.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 설치 기준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자동차압·과압조절형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 설치 기준 차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량(누설량)과 옥내와 연결된 출입문이 열렸을 때 연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하여야 할 방연풍속을 위한 공기량(보충량)으로 인해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피난의 종료로 출입문이 자동폐쇄장치에 의해 닫히면 제연구역에는 순간적으로 과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전실 제연설비에서 제연구역에 해당하는 계단실, 부속실 또는 승강장에 과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과압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고 제연구역에 과압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과압이 해소되어야 한다. 이렇게 과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조치로 자동차압·과압조절형 댐퍼 또는 과압방지장치(플랩댐퍼)를 설치하도록.. 2023. 2. 17.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_ 누설량, 보충량, 방연풍속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_ 누설량, 보충량, 방연풍속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누설량, 보충량, 방연풍속에 대해 알아보자. 제연설비에서 이 용어들은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누설량, 보충량, 방연풍속 등은 소방시설관리사 2차 시험과 소방기술사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① 누설량 차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공급하여야 할 공기량으로서 최대 허용 차연량이 된다. ② 보충량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을 보충량이라고 한다. 즉, 출입문의 일시적인 개방에 따라 제연구역의 압력은 순간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때 제연구역으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보충량은 화재실로부터 제연구역으로 연기유입을 .. 2023. 2. 16. 특별피난계단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_ 제연구역 급기량, 누설량, 보충량 특별피난계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_ 제연구역 급기량(Q1), 누설량, 보충량 특별피난계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송풍기 급기량은 차압을 유지하기 위한 급기량(이 경우 출입문, 창문으로 빠지는 누설량과 같아야 한다.)에 보충량을 합한 양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① 누설량 : 제연구역 틈새를 통하여 흘러나가는 공기량 (전 층 누설량의 합계) ② 보충량 :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보충하여야 하는 공기량 1. 제연구역에 공급하여야 할 공기의 양 ① 누설량 : 제연구역 틈새를 통하여 흘러나가는 공기량 (전 층 누설량의 합계) ② 보충량 :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보충하여야 하는 공기량 - 20개 층 이하 : 1개 층 출입문 개방 - 20개 층 초과 : 2개 층 출입문 개방 ③ .. 2023. 2. 13. 이전 1 ··· 3 4 5 6 7 8 9 ··· 19 다음 반응형